탐색으로 건너뛰기 컨텐츠로 건너뛰기
ASC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
  • Information
  • Notice
  • Exhibition
  • Artist
  • Programs
  • Rent
  • Archive
  • 홈
  • Account
  • footer
  • Information
  • Programs
  • Rent
  • user
  • 개인정보취급방침
  • 결제
  • 공간 대여
  • 내 계정
  • 로그인
  • 비밀번호찾기
  • 상점
  • 이메일인증
  • 이용약관
  • 작업실 대여
  • 장바구니
  • 장비 대여
  • 회원가입
  • 회원탈퇴
  • ₩0 0 품목
    Information Notice Exhibition Artist Programs Rent Archive
홈 / Artist / 진보연
작성일 2023.02.27.2023.04.20. 작성자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

진보연

민화 작가

 

 

 

카테고리: Artist

글 내비게이션

이전 글: 류경민
다음 글: 한지 스탬프 체험
© ASC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 2025
스토어프론트 & 우커머스로 만들어졌습니다.
  • 나의 계정
  • 검색
  • 장바구니 0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 041-542-6603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온양민속박물관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
Mail Instagram
시간을 담은 공예
윤리적 공예운동을 시작합니다.

프로그램

장승 목인형

2025. 5. 21. (수) 10:00-13:00/14:00-17:00

신청 장승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정원 조각 채집

2025. 5. 18. (일) 10:00-13:00

신청 정원채집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우드카빙 디저트 커트러리

2025. 5. 25. (일) 14:00-16:00

신청 우드카빙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우드카빙 잔 받침

2025. 5. 24. (토) 14:00-15:00

신청 우드카빙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뜨개 수선 워크숍Ⅰ

2025. 5. 24. (토) 10:00-12:30

신청 다시쓰기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센터 일정

▼ 작가 인터뷰(Q&A)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와 어떻게 처음 만나게 되었나요?
평소 전통공예에 대해서 관심이 많았는데 우연히 sns에서 다회 교육프로그램을 보고 전통 다회라는 것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신청을 하며 알게 되었습니다.
그 동안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에서 여러 작업을 하셨는데, 주로 어떤 작업으로 하셨는지 소개 부탁 드립니다.
다회를 이용하여 김태연작가님의 비닐끈등 여러 실을 활용하여 끈목을 짜보는 작업과 온양민속박물관이 소장 중인 민화 속 동식물 이미지를 일러스트 작업하여 디지털화 하였습니다.
유물을 모티브로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다루고 있는 재료로 표현하는 데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했던 점은 무엇이었나요?
유물의 기존 이미지를 남기면서도 일반사람들에게도 거부감 들지않고 친숙하게 작업하는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자수프로그램과 연계하는데 수월하도록 단순화하는 것에도 신경썼습니다.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에서 진행한 공예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처음 다회를 접하고, 계속해서 배우는 과정에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다회의 매력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처음에는 단순히 많이 알려져있지 않은 것에 대한 호기심이 제일 컸습니다. 그런데 점점 다회치기를 함에 있어 정적이면서도 쉼 없이 손이 움직이며 들리는 토짝 부딪치는 소리에서 마음의 평온함을 느낄 수 있다는 점이 무척 매력적으로 다가왔습니다.
민화와 다회 외에 도전해보고 싶거나 관심 있는 활동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민화와 다회를 배우면서 점점 여러 분야에 관심을 가지게되었는데,특히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에서의 여러 작가님들과의 교류와 전시를 통해 옻칠과 한지를 활용한 공예분야를 관심있게 보고 있습니다.
앞으로 어떤 활동을 계획하고 있으신가요?
나만의 민화를 고민하며 찾아가고 싶고 다회를 알게 된 지 얼마 되지않아 다회에 대해서도 다방면으로 알아보고 싶습니다. 이런 고민과 배움을 통하여 전통의 기법에 현대의 감각을 더한 작품을 만들어보고 싶습니다.

  • 상태 접수중
  • 대상
  • 일시
  • 비용

강의 일정

2025 공예주간-Museum Therapy: 소문만복래 笑門萬福來

장승 목인형

2025. 5. 21. (수) 10:00/14:00

신청 수호천사 목인형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정원 조각 채집

2025. 5. 18. (일) 10:00-13:00

신청 숲해설 정원채집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우드카빙 디저트 커트러리

2025. 5. 25. (일) 14:00-16:00

신청 커트러리 우드카빙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우드카빙 잔 받침

2025. 5. 24. (토) 14:00-15:00

신청 잔 받침 우드카빙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뜨개 수선 워크숍Ⅰ

2025. 5. 24. (토) 10:00-12:30

신청 다시쓰기 뜨개질 뮤지엄테라피 2025 공예주간

규방 프로그램

자수꽃에 담긴 고서향

2024. 10. 19. (토) 10:00 / 14:30

마감 자수꽃 사랑책방

완두콩 수세미 샤워타올

2024. 8. 31.(토) 10:30 / 13:30

마감 원데이클래스 손바느질 수세미 규방공예

대롱대롱 채소 주머니 - 코바늘편

2024. 8. 9.(금) 10:00

마감 원데이클래스 코바늘

대롱대롱 채소 주머니 - 코바늘편

2024. 7. 27.(토) 10:00

마감 원데이클래스 코바늘

파랑을 쌓다, 쪽 염색 워크숍

2024. 5. 22.(수) 14:00

마감 2024 공예주간 쪽 염색

펀치니들 옥춘 코스터

2024. 2. 3(토) 10:30

마감 설날 펀치니들

식물염색 실크 안대

2023. 10. 9(월) 10:30 / 14:00

마감 뮤지엄테라피 식물염색

다회 끈목과 과일 주머니

2023. 10. 3(화) 14:00

마감 뮤지엄테라피 다회

펀치니들로 만드는 수생식물의 집

2023. 10. 2(월) 14:00 / 7(토) 14:00

마감 뮤지엄테라피 펀치니들

전통과자 펠트 코스터

2023. 9. 27(수) 15:00/30(토) 10:30

마감 뮤지엄테라피 물펠트

양모펠트 탈

2023. 7. 15(토) 10:00 / 13:30

마감 규방 양모펠트

다회 끈목 과일 주머니

2023. 7. 8(토) 14:00 / 12(수) 10:00

마감 규방 다회

식물염색 보자기

2023. 6. 10(토) 10:00 / 14:00

마감 규방 식물염색

실 쌓은 액자

2023. 6. 3(토) 10:30 / 14:00

마감 규방 위빙

양모펠트 탈

2023. 5. 27(토) 10:00 / 13:30

마감 규방 양모펠트

누비 나이테 받침

2023. 5. 20(토) 10:30 / 14:00

마감 규방 누비

식물염색, 자연의 물듦

2022. 10. 3(월) 13:00/16:30

마감 에코프린팅 섬유

펀치니들, 식물의 집

2022. 10. 1(토) 13:30/17:00

마감 펀치니들 규방

그물가방, 유행의 재발견

2022. 07. 02(토) 10:00/14:00

마감 뜨개 네트백 규방

화병커버, 유리병의 재발견

2022. 07. 09(토) 10:00/14:00

마감 펀치니들 위빙 섬유

버려진 티셔츠의 재발견

2022. 07. 23(토) 10:00/14:00

마감 업사이클링 위빙 섬유

그물가방, 유행의 재발견

2022. 08. 11(목), 12(금), 13(토) 10:00/14:00

마감 뜨개 네트백 규방

화병커버, 유리병의 재발견

2022. 08. 18(목), 20(토) 10:00

마감 펀치니들 위빙 섬유

[전문가클래스] 탈, 놀이의 발견

2022. 06. 28(화), 29(수) 15:00

마감 터프팅 섬유

한지 프로그램

파랑을 담다, 부채

2024. 6. 8.(토) 14:00

마감 한지 배접 부채 쪽 염색

파랑을 담다, 부채

2024. 5. 24.(금) 14:00

마감 2024 공예주간 쪽 염색

미리 준비하는 여름, 부채

2024. 5. 17.(금) 10:30 / 14:00

마감 여름 부채

마음을 담은 종이, 심지(心紙)

2024. 1. 27(토) 11:00/14:00

마감 재생한지 편지

닥나무 샴푸바

2023. 10. 8(일) 13:30 / 15:30

마감 뮤지엄테라피 샴푸바

여름의 풍류, 부채

2023. 6. 16-22(금-목) 10:30 / 14:00 / 16:00

마감 한지 부채

청사진, 정원의 기록

2022. 10. 2(일) 13:00/17:30

마감 시아노타입 한지

버려진 종이의 재발견

2022. 06 .04(토) 10:00/14:00

마감 한지

레터프레스, 유물의 재발견

2022. 07. 23-2022. 08. 14(토/일) 11:00

마감 레터프레스 한지

부채, 입히는 선

2022. 08. 04(목), 06(토) 10:00/13:30

마감 한지

지우산, 동물과 문양

2022. 08. 18(목), 19(금), 20(토) 10:30/13:30

마감 한지

지우산, 동물과 문양

2022. 09. 11(일), 12(월) 11:00/13:30

마감 한지

버려진 종이의 재발견

2022. 07. 16(토) 10:00/14:00

마감 한지

기타 프로그램

사랑冊방 차회

2024. 10. 20. (일) 13:00 / 14:30 / 16:00

마감 사랑책방

사랑冊방 차회

2024. 10. 19. (토) 13:00 / 14:30 / 16:00

마감 차회 사랑책방

'비움' 요가 명상

2024. 10. 6. (일) / 10. 12. (토) 10:00

마감 야외요가명상 사랑책방

사랑冊방 독서회

2024. 10. 9. (수) 10:30

마감 독서모임 사랑책방

온양 X SMCC

2024. 10. 9. (수) 9:00

마감 아침커피모임 사랑책방

대나무로 만드는 나만의 장난감

2024.5.4(토) 10:00 / 13:00

마감 친환경

'일월십이지도' 민화

2024. 1. 20(토) 11:00

마감 민화 갑진년

Museum Therapy : 향과 움직임

2023. 10. 9(월) 10:00

마감 뮤지엄테라피 향 요가

Museum Therapy : 계절과 차

2023. 10. 7-8(토-일) 10:30

마감 뮤지엄테라피 tea

Museum Therapy : 향

2023. 10. 6(금) 10:30

마감 뮤지엄테라피 한지향낭 조향

Museum Therapy : 다회

2023. 10. 3(화) 10:30

마감 뮤지엄테라피 tea 다회

민화를 담은 반려 화분

2023. 10. 1(일) 10:30 / 14:00

마감 뮤지엄테라피 민화화분

'월계토문연' 민화

2023. 9. 30(토) 14:00/10. 2(월) 10:30

마감 뮤지엄테라피 민화

곡물을 닮은 그릇

2023. 9. 26(화) 15:00

마감 뮤지엄테라피 도자

원목 오프너 우드카빙

2023. 7. 1(토) 10:30 / 14:00

마감 우드카빙

정원을 담은 향낭

2023. 6. 24(토) 10:30 / 15:30

마감 조향

원목 오프너 우드카빙

2023. 5. 13(토) 10:30 / 14:00

마감 우드카빙

PLAY CRAFT

<산, 들, 내> 고드래 놀이터

2024. 10. 5 - 10. 19 (매주 토) 10. 9 (수) 13:30 / 15:00

마감 고드래돌 산들내

ASC play craft 크리스마스 위빙 액자

2023. 12. 16(토)/23(토) 13:30/15:00

마감 플레이 크래프트 크리스마스 위빙

ASC play craft 다회 끈목 주머니 오너먼트

2023. 12. 16(토) / 11:00

마감 플레이 크래프트 크리스마스 다회

ASC play craft 겨울을 담은 패브릭 오너먼트

2023. 11. 25(토)/12. 2(토) 13:30/15:00

마감 플레이크래프트 크리스마스 자수

ASC play craft 가을을 담은 모빌

2023. 10. 28(토)/11. 4(토) 13:30/15:00

마감 플레이크래프트 스탬프 자수

ASC play craft 물고기 캣닢쿠션과 매듭공

2023. 8. 5(토) 11:00 / 14:30

마감 규방 침선 마크라메 반려묘

ASC play craft 터그놀이 장난감

2023. 8. 26(토) 10:30 / 14:00

마감 규방 마크라메 반려견
지역의 공예가 선순환 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고 실험하며 지원합니다. 어린이부터 성인까지 전통공예를 기초한 올바른 배움의 틀을 만들고, 일반인부터 전문가까지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통해 공예문화를 확장하고자 합니다.

공간소개

한지공예와 규방공예를 중심으로 지속가능한 지역의 공예문화를 만들어가는 공간입니다.
1 자료실 2 공예체험실 3 사무실 4 규방작업실
5 전시실 6 한지교육실 7 디지털장비실 8 한지실험실
9 작업실 1 10 작업실 2 11 작업실 3
12 재료실 13 기계실
1 자료실 2 공예체험실 3 사무실 4 규방작업실 5 전시실 6 한지교육실 7 디지털장비실
8 한지실험실 9 작업실 1 10 작업실 2 11 작업실 3 12 재료실 13 기계실

오시는 길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온양민속박물관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
아산공예창작지원센터 041-542-6603

지하철 1호선 온양온천역 하차 후 도보 15-20분 기차 온양온천역 하차 후 도보 15-20분 KTX 천안아산역 하차 후 지하철 1호선 온양온천역 환승 or 택시탑승 시 10-15분 아산버스터미널 하차 후 시내버스 970번(4정거장) or 택시탑승 시 기본요금

자주 묻는 질문

Q 운영시간이 궁금합니다.

- 화-토 10:00-17:30
- 일-월요일 휴관
* 온양민속박물관 일정에 따라 휴관일이 변경될 수 있습니다.

Q 대중교통 이용방법 알려주세요.

- 지하철 1호선 온양온천역 하차 후 도보 15-20분
- 기차 온양온천역 하차 후 도보 15-20분
- KTX 천안아산역 하차 후 지하철 1호선 온양온천역 환승 or 택시탑승 시 10-15분
- 아산버스터미널 하차 후 시내버스 970번(0정거장) or 택시탑승 시 기본요금
* 충청남도 아산시 충무로 123 온양민속박물관 안에 위치합니다.
* 온양민속박물관 주차장 입구에서 오른편 건물입니다.

Q 주차요금은 얼마인가요?

- 주차장은 무료로 이용 가능합니다.

Q 교육신청은 어떻게 하나요?

- 홈페이지의 Programs 카테고리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사항은 전화 문의바랍니다.(041-542-6603)

Q 장비사용 및 장비대여는 어떻게 하나요?

- ASC 창작자에 한해 홈페이지의 Rent의 카테고리를 통해 신청할 수 있습니다.
- 자세한 사항은 전화 문의바랍니다.(041-542-6603)